728x90
반응형

리눅스명령어 14

Linux - 레드햇 패키지 관리기법 : RPM

RPM 레드햇사에서 만든 패키지 관리 기법으로 프로그램을 .rpm 형태의 파일로 배포하고, rpm 명령을 사용하여 손쉽게 설치 및 갱신, 제거, 검증, 질의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배포되는 rpm파일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패키지이름-버전-릴리즈.리눅스버전.아키텍처.rpm 구성 설명 패키지이름 어떤 패키지인지를 알려주는 패키지의 이름을 나타낸다. 버전 패키지의 버전을 의미한다. 리눅스 버전 기준이 되는 리눅스 버전을 나타낸다. 아키텍처 패키지가 사용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rpm 사용법 rpm 명령의 사용법은 설치 및 갱신, 제거, 질의, 검증 모드와 소스 rpm(.src.rpm)의 리빌드 모드 등 총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rpm [option] [패키지_파일명] ① 설치 및 갱신(instal..

Linux 2022.10.12

Linux - 주기적인 작업 등록 : cron, crontab

cron cron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작업은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작업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작업은 root 권한으로 /etc/crontab에 등록해서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crontab이라는 명령을 수행해서 등록할 수 있다. crontab 파일은 다음과 같이 총 7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crontab 필드 필드 설정 값 및 내용 minute 분(minute)을 나타내고, 0~59로 설정한다. hour 시(hour)를 나타내고, 0~23으로 설정한다. day of month 날(day of month)을 나타내고, 1~31로 설정한다. month 월(month)을 나타내고, 1~12로 설정한다. day of week 요일을 ..

Linux 2022.10.11

Linux - 허가권 설정 명령어 : chmod

허가권 설정 명령어 : chmod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접근할 수 있는 허가권을 설정하는 명령이다. chmod는 알파벳 기호를 사용하는 문자 모드와 8진수의 값을 사용하는 숫자 모드로 지정한다. 문자 모드에서 사용하는 기호는 권한, 사용자, 설정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권한의 표시는 r, w, x를 사용하고, 사용자의 지정은 u, g, o, a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설정 기호는 +, -, =을 사용한다. u는 파일 소유자의 접근 권한을 지정할 때 사용하고, o는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a는 all의 약자로 파일 소유자, 그룹, 다른 모든 사용자를 포함하여 접근 권한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chmod 옵션 chmod [option] mode file(s) 옵션 설명 -..

Linux 2022.10.10

Linux - 파일/디렉터리 그룹 변경 명령어 : chgrp

그룹 변경 명령어 : chgrp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 그룹을 바꾸는 명령으로 root가 아니면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특정한 사용자가 여러 그룹에 속한 경우에 본인 소유의 파일을 본인이 속한 그룹 내에서 소유권을 변경시킬 수 있다. chgrp 옵션 chgrp [option] group file(s) 옵션 설명 -R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디렉터리 내부의 모든 파일의 접근 권한을 변경한다.(--recursive) -c 변경된 정보를 출력해준다.(--changes) -f 중요한 오류 메시지가 아니면 출력하지 않는다.(--silent, --quite) -v 명령 진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출력한다.(--verbose) -h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한다. ..

Linux 2022.10.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