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기출모음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1802회 기출문제
[ 단답식 1-10 ]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파일명 또는 디렉터리명을 적으시오.
①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UID의 최댓값을 변경하려고 한다. ② 사용자 추가 시 www이라는 디렉터리를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하려고 한다. ③ 사용자 추가 시 생성되는 홈 디렉터리의 기본 위치를 /users 디렉터리 내에 생성되도록변경하려고 한다. ④ 사용자 패스워드에 적용된 암호화 알고리즘의 정확한 이름을 확인하려고 한다. |
① ② ③ ④ |
■ 조건
- 모든 파일명과 디렉터리명은 절대 경로로 기입한다.
- ① /etc/login.defs
- ② /etc/skel
- ③ /etc/default/useradd
- ④ /etc/login.defs
2. dd 명령을 이용해서 스왑 파일(swap file)을 조건에 맞게 생성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 dd ① ② ③ ④ |
■ 조건
- 스왑 파일명은 최상위 디렉터리인 /에 swap_file로 지정한다.
- 스왑 파일의 크기는 1GB로 지정한다.
- 블록의 크기는 1kilobyte로 지정한다.
- ① if=/dev/zero
- ② of=/swap_file
- ③bs=1k 또는 bs=1024 또는 bs=1000 또는 bs=1kB 등
- ④ count=1024000 또는 count=1000000 (①~④번 순서와 무관)
3. 다음은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ihduser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의 PID 값을 출력한다 # ① ② ihduser 나. PID가 14513인 프로세스를 실행한 명령어의 절대 경로를 출력한다. # ③ |
■ 조건
- ①은 명령어만 기재하고, ②번은 명령어의 옵션만 기재한다. ①번의 명령어가 틀리면 ②번은 배점하지 않는다.
- ③번은 ‘명령어’, ‘명령어 옵션’, ‘명령어 옵션 인자값’ 등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내용의 형식으로 기입한다.
- ① pgrep
- ② -u
- ③ ls -l /proc/14513/exe 또는 which ‘ps -p 14513 -o comm=’
4. 다음은 yum을 이용해서 텔넷(telnet) 서버를 확인 후에 설치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 yum ① 나. telnet 이라는 문자열과 관련된 패키지 정보를 출력한다. # yum ② 다. telnet-server 패키지의 버전, 사이즈, 요약, 설명 등의 기본 정보를 출력한다. # yum ③ telnet-server 라. telnet-server 패키지를 설치한다. # yum ④ telnet-server |
- ① list installed
- ② search telnet
- ③ info
- ④ install
5. 다음은 커널 컴파일을 진행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커널 컴파일을 실행하기 전에 관련 정보를 초기화하고 파일을 삭제한다. # make ① 나. 커널 컴파일 관련 옵션 설정 작업을 Qt 기반의 환경에서 진행한다. # make ② |
■ 조건
- ①번은 기존에 생성된 환경 설정 파일, 다양한 백업 파일 뿐만 아니라 패치 파일 등 모든 관련 파일을 삭제한다.
- ① distclean
- ② xconfig
6. 다음은 디스크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작업 사항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dev/sda1에 부여되어 있는 UUID 값을 출력한다. # ① /dev/sda1 나. /dev/sda1의 블록 사이즈 정보를 출력한다. # ① /dev/sda1 |
■ 조건
- ①과 ②번은 ‘명령어’, ‘명령어 옵션’, ‘명령어 옵션 인자값’ 등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입한다.
- ① blkid또는 dumpe2fs 또는 blikd device
- ② dumpe2fs 또는 blockdev --getbsz 또는 blockdev --report
7. 다음은 last 명령으로 참조되는 로그 파일의 로테이션 관련 설정을 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 vi ① ② { ③ } |
■ 조건
- ①과 ②번은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기재한다.
- ③번은 해당 로그 파일의 정보를 일반 사용자들이 볼 수 없도록 허가권 및 소유권을 지정한다. 조건과 관련된 내용 한 줄만을 기재한다.
- ① /etc/logrotate.conf
- ② /var/log/wtmp
- ③ create 0600 root utmp 또는 create 0600 root root (0600 대신에 0660 가능)
8. 다음은 로테이션된 지난 로그 파일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로그인에 실패한 접속 기록을 출력한다. # ① ② -20180331 나. 로그인에 성공한 접속 기록을 출력한다. # ③ ④ -20180331 |
■ 조건
- ①과 ③번은 ‘명령어’, ‘명령어 옵션’ 등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내용의 형식으로기입한다.
- ②과 ④번은 관련 파일명을 기입한다.
- 정확한 명령어와 파일 조합만을 정답으로 인정한다.
- ① lastb -f
- ② /var/log/btmp
- ③ last -f
- ④ /var/log/wtmp
9. 다음은 운영 중인 sshd 서버로 접근하는 root 계정에 대한 거부 설정을 하는 과정이다. 조건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 vi ① ② |
■ 조건
- ①번은 관련 파일명을 절대경로로 기입한다.
- ②번은 관련 항목과 값만 한 줄로 기입한다.
- ① /etc/ssh/sshd_config
- ② PermitRootLogin no
10. 다음은 cpio를 이용해서 시스템의 데이터를 백업하고 복원하는 과정이다. 작업 사항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home 디렉터리를 home.cpio로 백업을 진행하는데, 데이터 형식을 SVR4 portable format with no CRC으로 하고 진행 과정을 상세히 출력한다. # ① | cpio ② 나. 백업된 home.cpio로 데이터를 복원한다. 데이터 형식은 SVR4 portable format with no CRC으로 지정하고 진행 과정을 상세히 출력한다 # cpio ③ |
■ 조건
- ①번은 ‘명령어’, ‘명령어 옵션’, ‘명령어 옵션 인자값’ 등 해당 작업을 처리할 수있는내용의 형식으로 기입한다.
- ②과 ③번은 옵션 또는 ‘옵션 인자값’ 등 해당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내용의 형식으로 기입한다.
- ① find /home 또는 find /home -print
- ② -ocv > home.cpio 또는 -ocvF home.cpio
- ③ -icv < home.cpio 또는 -icvF home.cpio
- ( ②과 ③번에서 -c 옵션 대신에 -H newc 또는 --format=newc 가능 )
[ 작업식 11-16 ]
11. 다음은 아파치 웹 사용자 인증 및 점검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ihduser라는 웹 사용자를 생성하는데, 관련 파일은 /usr/local/apache/conf/password로 생성한다. # ① ② 나. 아파치 환경 설정 파일의 문법적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 ③ 다. 아파치 웹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고, 변경된 환경 설정 파일 정보만을 다시 읽어들인다. # ④ |
■ 조건
- ①번은 관련 명령어만 기재한다. (①번의 명령어가 틀리면 ②번은 배점하지 않는다.)
- ②은 명령어의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을 기입하는데,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 (예: -d /home/ihduser)
- ③과 ④번은 ‘명령어’, ‘명령어 옵션’, ‘명령어 옵션 인자값’ 등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내용의 형식으로 기입한다.
- ① htpasswd
- ② -c /usr/local/apache/conf/password ihduser
- ③ httpd -t 또는 service httpd configtest (httpd 대신에 apachectl 가능)
- ④ httpd -k graceful 또는 service httpd graceful (httpd 대신에 apachectl 가능)
12. 다음은 NIS 도메인명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관련 명령어를 사용해서 NIS 도메인명을 ihd.or.kr로 지정한다. # ① ihd.or.kr 나. 재부팅 시에도 관련 NIS 도메인명이 적용시키기 위해 관련 파일에 등록한다. # vi ② ③ |
■ 조건
- ①번은 관련 명령어만 기재한다.
- ②은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기입한다.
- ③번은 관련 설정 내용을 기입한다.
- ① nisdomainname
- ② /etc/sysconfig/network
- ③ NISDOMAIN=ihd.or.kr
13. 다음은 vsftpd 서버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ihduser 와 kaituser의 FTP 서버 접근을 거부하도록 설정한다 # vi ① ihduser kaituser 나. 접속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최상위 디렉터리로 지정한다. # vi ② ③ |
■ 조건
- ①과 ②번은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기입한다.
- ③번은 관련 항목과 값만 한 줄로 기입한다.
- ① /etc/vsftpd/ftpusers 또는 /etc/vsftpd/user_list
- ② /etc/vsftpd/vsftpd.conf
- ③ chroot_local_user=YES
14. 다음은 iptables를 이용해서 NAT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작업 사항에 맞게 ( 괄호)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첫 번째 이더넷카드(eth0)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패킷에 203.247.5.13번 IP 주소를부여한다. # iptables ① -o eth0 ② --to 203.247.5.13 나. 203.247.12.22의 80번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192.168.5.13의 80번 포트로 연결한다. # iptables ③ -p tcp -d 203.247.12.22 --dport 80 ④ --to 192.168.5.13:80 |
■ 조건
- ①~④번은 작업 사항에 알맞은 내용을 기입한다.
- ① -t nat -A POSTROUTING
- ② -j SNAT
- ③ -t nat -A PREROUTING
- ④ -j DNAT
15. 하나의 메일 서버에 여러 도메인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동일한 메일 계정을 요구받아 관련 설정을 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 IN SOA ns.ihd.or.kr. kait.ihd.or.kr( --중략 3H ) ; minimum IN NS ns.ihd.or.kr. IN A 192.168.12.22 ① ② ③ |
■ 조건
- ①번은 ihd.or.kr 도메인으로 메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 내용을 한 줄로 기입한다.
- ②번은 www 도메인을 사용하는 호스트의 IP 주소를 192.168.12.22로 설정한다.
- ③번은 www1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도 www 호스트로 연결시킨다.
- ① IN MX 10 ihd.or.kr. (IN 생략가능)
- ② www IN A 192.168.12.22 (IN 생략가능) 3점
- ③ www1 IN CNAME www (IN 생략가능) 3점
16. 다음은 DHCP 서버 운영을 위해 환경 설정 파일에 주요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작업 사항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할당할 IP 주소 대역을 192.168.5.1부터 192.168.5.253로 지정하고, DHCP 클라이언트 뿐만아니라 BOOTP 클라이언트도 함께 할당한다. ① 나. 할당할 도메인명은 ihd.or.kr로 지정한다. ② 다. 할당할 게이트웨이 주소를 192.168.5.254로 지정한다. ③ 라. 할당할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168.5.255로 지정한다. ④ |
■ 조건
- ①번은 해당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기재한다.
- ②∼④번은 관련 항목의 설정 값을 하나씩 기재한다.
- ① range dynamic-bootp 192.168.5.1 192.168.5.253; 3점
- ② option domain-name “ihd.or.kr”; 3점
- ③ option routers 192.168.5.254; 3점
- ④ option broadcast-address 192.168.5.255; 3점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1901회 기출문제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기출문제 모음 (0) | 2024.11.25 |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402회 기출문제 (0) | 2024.11.24 |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 1902회 기출문제 (0) | 2024.11.24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002회 기출문제 (0) | 2024.11.24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102회 기출문제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