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기출모음
✏️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1901회 기출문제
1. 다음 조건에 맞게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 ① ② ③ ④ ihduser |
■ 조건
- ihduser의 사용자명을 kaituser로 변경한다.
- 홈 디렉터리를 /home/ihduser에서 /home/kaituser로 변경하고, 기존에 소유했던 파일이나 디렉터리도 그대로 이용 가능하도록 한다.
- ① 번은 해당 명령어를 기재한다.
- ②∼④번은 명령어의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 값을 기재한다.
- ① usermod
- ② -l kaituser
- ③ -d /home/kaituser
- ④ -m (②∼④는순서무관, ①번명령어를틀렸을경우옵션채점제외)
2. 다음은 사용자를 관리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ihduser 사용자가 패스워드 입력 없이 사용자명만 입력하면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① ② ihduser 나. kaituser는 다음 로그인 시에 패스워드를 반드시 바꾸도록 설정한다. # ① ③ kaituser 다. examuser의 패스워드가 만료된 후 3일이 지나면 로그인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① ④ examuser |
■ 조건
- ①번은 해당 명령어를 기재한다. ①번의 명령어가 틀리면 ②∼④번은 배점하지 않는다.
- ②∼④번은 명령어의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 값을 기재하는데, 옵션과관련된인자 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 (예: -d /home/ihduser)
- ① passwd
- ② -d
- ③ -e
- ④ -i 3
3. 다음은 사용자의 디스크 쿼터(Disk Quota)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etc/fstab 파일에서 /home 관련된 영역의 4번째 필드에 추가로 기재해야할 옵션 값을 적는다. ① 나. /home 영역을 다시 마운트 한다. # ② /home 다.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여 quota 기록 파일을 생성한다. # ③ /home 라. kaituser 사용자에 대한 쿼터를 설정한다. # ④ kaituser |
■ 조건
- ①번은 관련 값만 기재한다.
- ②번은 명령어와 관련 옵션을 한 번에 기재한다.
- ③번은 해당 명령어를 기재한다.
- ④번은 해당 명령어만 기재한다. (실행되는 명령어를 기재)
- ① usrquota
- ② mount -o remount
- ③ quotacheck 또는 quotacheck -mf
- ④ edquota 또는 edquota -u
4. 다음은 파일 및 디렉터리를 관리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usr/local/apache/htdocs 디렉터리를 /var/www/html로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링크를 설정한다. # ① ② ③ 나. /project/lin.sh 파일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보존되도록 /backup/lin.sh를 생성한다. /project/lin.sh 파일이 삭제되어도 /backup/lin.sh 파일의 내용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① ④ |
■ 조건
- ①번은 해당 명령어를 기재한다. ①번의 명령어가 틀리면 ②∼④번은 배점하지 않는다.
- ②∼③번은 명령어의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 값을 기재하는데, 옵션과관련된인자 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 (예: -d /home/ihduser)
- ④번은 ①번에 기재되는 명령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내용을 하나로 기재한다.
- ① ln
- ② -s /usr/local/apache/htdocs
- ③ /var/www/html
- ④ /project/lin.sh /backup/lin.sh
5. 다음 조건에 맞게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로그인해서 사용 중인 bash의 NI 및 PRI 값을 확인한다. # ① 나. bash 프로세스에 설정된 NI값을 10만큼 감소시켜 우선순위를 높인다. # ② bash 다. PID가 513인 프로세스의 NI값을 할당 가능한 최댓값으로 지정해서 우선순위를 높인다. # ③ ④ 513 |
■ 조건
- ①번은 명령어 또는 명령어와 옵션 조합으로 기재한다.
- ②번은 명령어를 기재한다.
- ③번은 해당 명령어만 기재한다. ③번의 명령어가 틀리면 ④번은 배점하지 않는다.
- ④번은 명령어의 설정값, 옵션, 옵션과 관련된 인자 값 등을 기재하는데, 옵션과관련된인자 값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 (예: -d /home/ihduser)
- ① ps -l 또는 top
- ② nice --10 또는 nice -n -10
- ③ renice
- ④ -20 또는 -n -20
6. 다음은 ihduser 사용자가 설정한 cron 작업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ihduser 사용자가 설정한 cron 작업 내용을 확인한다. # ① ② ihduser 나. ihduser 사용자가 설정한 cron 작업 내용을 수정한다. # ① ③ ihduser 다. ihduser 사용자가 설정한 cron 작업 파일을 삭제한다. # ① ④ ihduser |
■ 조건
- ①번은 명령어만 기재한다.
- ②∼④번은 필요한 옵션을 한 번에 기재한다.
- ① crontab
- ② -l -u 또는 -lu
- ③ -e -u 또는 -eu
- ④ -r -u 또는 -ru
7. 다음은 rpm으로 설치된 특정 패키지 제거 및 이후에 발생된 문제점을 찾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rpm 패키지로 설치된 mysql를 제거하는데, 의존성은 무시한다. # rpm ① mysql 나. mysql 패키지를 제거했더니, postfix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postfix의 실 행 명령어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을 적는다. # ② postfix 다. postfix가 참고하는 동적 라이브러리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을 기재한다. # ③ ④ |
■ 조건
- ①번은 필요한 옵션을 한 번에 기재한다.
- ②번은 실행되는 명령어만 기재한다. 옵션이나 인자 값은 기재하지 않는다.
- ③번은 명령어만 기재한다
- ④번은 관련 파일의 경로를 절대 경로로 기재한다. (제공된 리눅스 버전 기준)
- ① -e --nodeps
- ② which 또는 whereis
- ③ ldd
- ④ /usr/sbin/postfix
8. 다음은 C언어로 작성된 소스 파일을 전달 받아 컴파일 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묶여진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데, 파일 목록 등과 같은 진행 과정은 화면에 표시 하지 않는다. # tar ① project.tar.xz 나. sum.c를 컴파일 하여 sum.o라는 목적(object) 파일을 생성한다. # ② ③ sum.c 다. sum.o 및 add.o와 같이 2개의 목적 파일을 이용해서 calc라는 실행 명령을 생성한다. # ② ④ sum.o add.o |
■ 조건
- ①번은 압축 등 꼭 필요한 옵션만 한 번에 기재한다.
- ②번은 명령어만 기재한다.
- ③번과 ④번은 명령어의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 값을 기재하는데,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 (예: -d /home/ihduser)
- ① Jxf 또는 -Jxf
- ② gcc
- ③ -c
- ④ -o calc
9. 다음은 모듈 관련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사용 가능한 모듈 목록 정보를 출력한다. # ① ② 나. ip6table_filter 모듈을 제거하면서 관련 모듈도 같이 제거한다. # ① ③ ip6table_filter 다. 3c59x.ko 모듈 관련 정보를 출력한다. # ④ 3c59x.ko |
■ 조건
- ①번과 ④번은 명령어만 기재한다.
- ②번과 ③번은 명령어의 옵션만 기재한다.
- ① modprobe
- ② -l
- ③ -r
- ④ modinfo
10. 다음은 명령어를 이용해서 로그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최근에 재부팅한 정보 2개만 출력한다. # ① 나. 로컬시스템의 3번째 터미널 창(/dev/tty3)에 로그인이 성공한 정보를 출력한다. # ② 다. kaituser가 로그인에 실패한 정보를 출력한다. # ③ 라. ihduser의 최종 로그인한 정보를 출력한다. # ④ |
■ 조건
- ①∼④번은 명령어, 옵션, 옵션과 관련된 인자 값 등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하나의 명령으로 기재한다.
- ① last -n 2
- ② last tty3
- ③ lastb kaituser
- ④ lastlog -u ihduser 또는 lastlog --user ihduser
[ 작업식 11-16 ]
11. 다음 조건에 따라 아파치 웹 서버 환경 설정을 진행하려고 한다. 관련 환경 설정파일의항목과 값을 적으시오.
가. 허가 거부된 페이지에 접근할 경우에 제공되는 페이지를 설정한다. ① ② /forbidden.html 나.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 제공되는 페이지를 설정한다. ① ④ /unauth.html 다. 존재하지 않는 웹 문서에 접근할 때 제공되는 페이지를 설정한다. ① ④ /not_found.html |
■ 조건
- 항목과 값 입력 시에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확히 기재한다. (예: LogLevel warn)
- ① ErrorDocument
- ② 403
- ③ 401
- ④ 404
12. 다음은 NIS 클라이언트에서 명령어를 사용해서 다양한 정보를 조회하고 변경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지정된 NIS 서버이름을 출력한다. # ① 나. NIS 서버의 맵 파일을 출력한다. ① ② 다. NIS 서버의 사용자 관련 정보를 출력한다. ④ passwd.byname 라. NIS 서버에 등록된 lin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한다. # ④ lin |
■ 조건
- ①, ③, ④번은 관련 명령어만 기재한다.
- ②번은 명령어의 옵션을 기재한다. ①번의 명령어가 틀리면 ②번은 배점하지 않는다.
- ① ypwhich
- ② -m
- ③ ypcat
- ④ ypapsswd
13. 다음은 NFS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서 명령어를 사용해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NFS 서버에서 외부에 공유된 내용을 세부적인 설정 정보를 포함해서 자세히 출력한다. # ① 나. NFS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인 192.168.12.22의 공유된 정보를 확인한다 # ② 192.168.12.22 다. RPC 관련 정보를 확인한다. # ③ 라. NFS 서버 또는 NFS 클라이언트에서 NFS 관련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 ④ |
■ 조건
- ①∼⑤번은 조건과 관련된 항목과 설정 값을 한 줄씩 기입한다.
- ① exports -v
- ② showmount -e
- ③ rpcinfo 또는 nfsstat -r
- ④ nfsstat
14. 다음은 삼바 서버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이름으로 접근할 때의 명칭은 ihd_com으로 지정한다. ① 나. 공유 그룹명은 IHD로 지정한다. ② 다. 서버에 대한 설명은 IHD server로 지정한다. ③ 라. 접근할 수 있는 호스트는 192.168.5.0 네트워크에 대역에 속한 모든 호스트들과 로컬시스템으로 제한한다. ④ |
■ 조건
- ① ∼ ④번은 관련 항목과 값을 한 번에 기재한다.
- ① netbios name = ihd_com
- ② workgroup = IHD
- ③ server string = IHD server
- ④ hosts allow = 192.168.5. (분리자 콤마 가능 등)
15. 하나의 메일 서버에 여러 도메인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동일한 메일 계정을 요구받아관련설정을 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linux.com 도메인의 webmaster 계정은 ihduser에게 전달되도록 설정하고, windows.com 도메인의 webmaster 계정은 kaituser에게 전달되도록 설정한다 # vi ① ② ③ 나. 수정된 내용을 반영하는 makemap 명령어를 기술한다. # ④ |
■ 조건
- ①번은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기재한다.
- ②과 ③번은 관련 설정을 하나씩 기재한다. (순서 무관)
- ④번은 설정한 내용이 적용되도록 실행하는 명령어를 한 번에 기재한다.
- ① /etc/mail/virtusertable
- ② webmaster@linux.com ihduser
- ③ webmaster@windows.com kaituser
- ④ makemap hash /etc/mail/virtusertable < /etc/mail/virtusertable
- (②번과 ③번은 순서 무관)
16. 다음은 TCP Wrapper를 이용해 외부의 호스트들의 접근을 제어하는 과정이다. 현재관련파일 설정을 통해 모든 호스트에 대한 접근이 거부된 상태일 경우 작업 사항에맞게(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특정 호스트들에 대한 허가 관련 설정을 위해 관련 파일을 편집기로 작업한다. # vi① 나. 모든 서비스에 대해 로컬호스트와 ihd.or.kr 도메인을 사용하는 호스트들은 모두 허가한다. ② 다. 텔넷 서비스는 192.168.5.13번 호스트만 허가한다. ③ 라. ssh는 192.168.5.0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모든 호스트를 허가한다. ④ |
■ 조건
- ①번은 해당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기재한다.
- ②∼④번은 관련 항목의 설정 값을 하나씩 기재한다.
- ① /etc/hosts.allow
- ② ALL: localhost, .ihd.or.
- ③ in.telnetd: 192.168.5.13
- ④ sshd: 192.168.5. 또는 sshd: 192.168.5.0/255.255.255.0
📌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2001회 기출문제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001회 기출문제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기출모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기출문제 모음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2001회 기출문제[ 단답식 1 ~ 10 ]1. 다음은 사용자를 관리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ohaengsa.tistory.com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1801회 기출문제 (1) | 2024.11.26 |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1702회 기출문제 (1) | 2024.11.25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001회 기출문제 (0) | 2024.11.25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101회 기출문제 (1) | 2024.11.25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201회 기출문제 (3)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