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기출모음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1702회 기출문제
[ 단답식 1-10 ]
1. 다음은 특수권한 설정에 관한 명령어 이다. 괄호 안에 알맞은 옵션을 넣으시오.
[root@ihd ~]# chmod ① /ihd |
■ 조건
- 일반 사용자들이 /ihd 디렉터리에서 파일 및 디렉터리 생성이 가능하다. - 일반 사용자들은 자신이 생성한 파일 및 디렉터리 이외에는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하다. - 기존에 설정된 /ihd 디렉터리의 허가권(Permission)값에 상관없이 적용되도록 설정한다.
① 1777 4점
2. 다음은 파일 시스템 생성한 후에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순서를 넣으시오.
[root@ihd ~]# mke2fs ① ext4② 1024 /dev/sdb1 [root@ihd ~]# ③ /dev/sdb1 |
■ 조건
- /dev/sdb1 디바이스의 블록 사이즈 단위를 1024byte로 지정하고 ext4 파일시스템으로생성한다.
- 생성된 파일시스템의 블록 사이즈 정보를 확인한다.
- ① -t
- ② -b
- ③ dumpe2fs
3. 다음은 프로세스 관리에 관한 명령어 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옵션을 넣으시오.
[root@ihd ~]# top top - 08:45:47 up 42 min, 1 user, load average: 0.00, 0.00, 0.00 Tasks: 171 total, 1 running, 169 sleeping, 1 stopped, 1 zombie Cpu(s): 0.0%us, 0.3%sy, 0.0%ni, 99.7%id, 0.0%wa, 0.0%hi, 0.0%si, 0.0%st Mem: 1907936k total, 372188k used, 1535748k free, 32704k buffers Swap: 2097148k total, 0k used, 2097148k free, 145660k cached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CPU %MEM TIME+ COMMAND 3535 root 20 0 15040 1284 936 R 0.7 0.1 0:00.06 top 7 root 20 0 0 0 0 S 0.3 0.0 0:04.54 events/0 2046 root 20 0 8368 416 312 S 0.3 0.0 0:00.03 fcoemon 2258 root 20 0 22520 1112 940 S 0.3 0.1 0:01.15 hald-addon-stor 3318 root 20 0 102m 4604 3540 Z 0.3 0.2 0:00.52 hackd 1 root 20 0 19360 1548 1232 S 0.0 0.1 0:00.96 init 2 root 20 0 0 0 0 S 0.0 0.0 0:00.00 kthreadd [root@ihd ~]# kill ① ② |
■ 조건
- top 명령을 통해 zombie 프로세스를 확인한다.
- top 명령을 통해 확인한 zombie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는 시그널을 보낸다.
① -9 2점
② 3318 2점
4. 다음은 RPM 패키지를 삭제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옵션을 넣으시오.
[root@ihd ~]# rpm ① httpd error: Failed dependencies: httpd-mmn = 20051115 is needed by (installed) mod_nss-1.0.10-1.el6.x86_64 httpd-mmn = 20051115 is needed by (installed) mod_perl-2.0.4-11.el6_5.x86_64 httpd-mmn = 20051115 is needed by (installed) mod_wsgi-3.2-7.el6.x86_64 httpd-mmn = 20051115 is needed by (installed) mod_authnz_pam-0.9.2-1.el6.x86_64 httpd-mmn = 20051115 is needed by (installed) mod_auth_kerb-5.4-13.el6.x86_64 [root@ihd ~]# rpm ① httpd ② |
■ 조건 - RPM 명령으로 httpd 패키지를 삭제하려고 한다. - httpd 패키지와 의존성 패키지를 무시하고 삭제한다.
① -e 2점
② --nodeps 2점
5. 다음은 디바이스 장치 추가 내용 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옵션을 넣으시오.
[root@ihd ~]# vi /etc/fstab ① ② ext4 defaults ③ ④ |
■ 조건
- /dev/sdb1 을 /data 디렉터리에 ext4 으로 자동 마운트되도록 설정한다.
- 부팅시 /dev/sdb1 디바이스의 파일시스템 점검하고 dump를 사용을 하지 않는다.
① /dev/sdb1 2점
② /data 2점
③ 0
④ 1
6. 다음은 디스크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작업 사항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디스크 파티션 UUID를 출력한다. # ① /dev/sda1 /dev/sda1: UUID="debcbb0b-706a-4094-ba09-1089488d1688" TYPE="ext4" PARTUUID="5572c833-01" /dev/sda2: UUID="0EiQcQ-xVyg-vscf-Z9u1-7Zdv-lS7J-VQOdAQ" TYPE="LVM2_member" PARTUUID="5572c833-02" /dev/mapper/swap: UUID="ea0e4ddc-43a2-4876-b85c-7fa93507e201" TYPE="swap" /dev/mapper/root: UUID="7db65424-e63a-4307-80c5-53438592ecee" TYPE="ext4" 나. /dev/sda1의 I/O 제한 정보를 출력한다. # ① ② |
■ 조건
- ① 은 블록 디바이스 속성과 UUID를 출력해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 ➁ 는 ➀ 명령어의 옵션을 기재한다.
① blkid 2점
② -i 2점
7. 다음은 last 명령으로 참조되는 로그 파일의 로테이션 관련 설정을 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 ls /var/log/① # ② |
■ 조건
- ① : 로그인 실패를 기록하는 바이너리 타입의 로그파일이다.
- ② : ① 로그파일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로그인 실패 정보를 출력해준다.
① btmp 2점
② lastb 2점
8. 다음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 ① ② -f /var/log/messages 'Hello, World!' |
■ 조건
- 명령어는 root 사용자 계정으로 수행한다.
- 명령어를 이용하여 /var/log/messages 파일에 문자열을 추가한다.
- 'Hello, World!'이 로그파일에 기록될 때 같은 라인에 프로세스 아이디도 기록되도록 한다.- 각각의 괄호에는 하나의 명령어 또는 하나의 옵션만 기입한다.
① logger 2점
② -i 2점
9. /var/log/messages 파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파일의 기본권한 이외의 특별한 속성을 추가하고자 할 때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명령과 옵션을 적으시오.
# ① ② /var/log/messages |
■ 조건
- /var/log/messages 파일을 삭제할 수 없다. - /var/log/messages 파일은 로그를 기록하기 위해 추가가 가능하여야 한다. - /var/log/messages 파일에 기존 속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운 조건만 추가하려한다. - ① 명령어를 적는다. - ② 조건에 맞는 옵션을 적는다. - 각각의 괄호에는 하나의 명령어 또는 하나의 옵션만 기입한다.
① chattr 2점
② +a 2점
10. 다음은 cpio 명령을 이용하여 텍스트 파일을 백업과 복원하는 절차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명령과 옵션을 적으시오.
가. 텍스트파일 백업 # find . -name *.text -print | cpio ① ② text.backup 나. 텍스트파일 복원 # cpio ③ ④ text.backup |
■ 조건
- find 명령의 표준 출력을 cpio의 표준입력으로 받아 text.backup 파일로 백업한다.
- text.backup 백업된 데이터를 표준입력으로 받아 현재 디렉터리에 복원한다.
① -o 1점
② > 1점
③ -i 1점
④ < 1점
[ 작업식 11-16 ]
11. 다음은 웹서버 2.x 접근통제에 대한 설정 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넣으시오.
[root@ihd ~]# vi /etc/httpd/conf/httpd.conf <Directory "www/ihd/admin"> ① Deny,Allow ② from ③ Allow from ④ </Directory> |
■ 조건
- 접근을 통제할 디렉터리는 /www/ihd/admin 이다.
- 192.168.22.0 네트워크 대역의 주소를 갖는 클라이언트 접속만 허용한다.
- ① Order
- ② Deny
- ③ All 3점
- ④ 192.168.22.0/255.255.255.0 또는 192.168.22.0/24 또는 192.168.22.
12. 다음은 NFS 서버 설정에 대한 내용 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 옵션을 넣으시오.
[root@ihd ~]# vi /etc/exports /nfs_share /nfs_share ① (rw, ② ) |
■ 조건
- 공유 디렉터리명 : /nfs_shar
- 공유 접근 및 사용 권한 : root 사용자권한 읽기 쓰기 가능
- 공유 접근 클라이언트 : 192.168.5.0 네트워크의 주소를 갖는 클라이언트
- ① 192.168.5.0/255.255.255.0 또는 192.168.5.0/24
- ② no_root_squash
13. 다음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넣으시오.
[root@ihd ~]# vi /etc/mail/virtusertable ① ② |
■ 조건
- ihd.or.kr 도메인으로 들어오는 모든 메일을 ihdadmin 계정으로 전달한다.
- ① @ihd.or.kr
- ② ihdadmin
14. 다음은 Squid 프록시 서버의 접근 제한 설정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① kait src ② http_access ③ ④ http_access ⑤ ⑥ |
■ 조건
- 10.20.17.0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호스트만 허가하고, 해당 네트워크 대역에 속하지 않은 모든 호스트의 사용을 거부한다.
- 10.20.17.0 네트워크는 C클래스 대역으로 제한한다.
- ① acl
- ② 10.20.17.0/255.255.255.0 또는 10.20.17.0/24
- ③ allow
- ④ kait
- ⑤ deny
- ⑥ All
15. 다음은 dhcpd.conf의 설정이다. 아래의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ddns-update-style none; subnet 192.168.100.0 netmask 255.255.255.0 { ① 192.168.100.101 192.168.100.199; option ② ns.linuxmaster.org; option ③ "linuxmaster.org"; option ④ 192.168.100.254; default-lease-time 3600; max-lease-time 7200; |
■ 조건
- ① : DHCP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는 IP 주소는 192.168.100.101부터 192.168.100.199이다.
- ② : DHCP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는 도메인 네임 서버는 ns.linuxmaster.org 이다.
- ③ : DHCP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는 도메인명은 linuxmaster.org 이다.
- ④ : DHCP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는 게이트웨이 IP 주소는 192.168.100.254 이다.
- ① range
- ② domain-name-servers
- ③ domain-name
- ④ routers
16. 다음은 telnet 서버의 설정의 일부이다. 아래의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① = no ② = 5 ③ = 08:00-20:00 ④ = 7 ⑤ = 10.20.16.0/24 log_type = ⑥ server = /usr/sbin/in.telnetd |
■ 조건
- 다중 스레드로 동작하여 새로운 서비스 요청을 받아들일 수 있다.
- 서버의 우선순위를 5로 지정한다.
- 텔넷 서버의 접속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만 가능하게 설정한다.
- 동일한 IP 주소에서의 접속은 7개로 제한한다.
- IP 주소가 10.20.16.0/24 인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호스트는 접속을 거부한다.
- 로그는 /var/log/telnetd.log 파일에 별도로 저장한다.
- ① wait
- ② nice
- ③ access_times
- ④ per_source
- ⑤ no_access
- ⑥ FILE /var/log/telnetd.log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1801회 기출문제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 1901회 기출문제 (3) | 2024.11.26 |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1801회 기출문제 (1) | 2024.11.26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001회 기출문제 (0) | 2024.11.25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101회 기출문제 (1) | 2024.11.25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2201회 기출문제 (3)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