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ast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재부팅한 정보는 /var/log/wtmp 파일에 저장하는데, 이 파일은 텍스트 파일인 아닌 바이너리 파일로 생성된다. 이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이 last이다. 재부팅한 정보는 시스템 계정인 reboot을 지정하면 되고, 인자값으로 정수값을 주면 로컬의 특정 터미널로 로그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법
$ last [option] [사용자명] [ttyn]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f 파일명 | 로그 로테이션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기본 로그 파일 이외의 다른 로그 파일의 기록을 볼 경우에 사용한다. |
-n 숫자 | 가장 최근부터 해당 숫자값 만큼만 출력한다.('-숫자’와 같다.) |
-t YYYYMMDDHHMMSS | 지정한 시간 이전에 로그인한 기록을 출력한다. |
-R | IP 주소나 호스트명을 출력하지 않는다. |
-a | 호스트명이나 IP 주소 필드를 맨 마지막에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d 옵션과 함께 사용된다. |
-d | 리눅스는 외부에서 접속한 기록을 IP 주소뿐만 아니라, 호스트 이름도 저장한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호스트 이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
-F | 로그인 및 로그아웃 시간을 출력한다. |
-i | 접속한 호스트의 IP 주소로만 출력한다. |
-w | 사용자의 전체 이름이나 전체 도메인 이름을 전부 출력해준다. |
사용 예
① /var/log/wtmp가 만들어진 후 관련 정보를 출력한다.
$ last
② jpm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출력한다.
$ last j9m
③ 시스템이 재부팅된 정보를 출력한다.
$ last reboot
④ 가장 최근에 재부팅한 정보 하나만 출력한다.
$ last -1 reboot
⑤ /var/log/wtmp.1 파일의 정보를 출력한다.
$ last -f /var/log/wtmp.1
참고자료
CentOS 7으로 리눅스마스터 1급 정복하기
728x90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로그 관련 명령어 : lastb (0) | 2022.10.12 |
---|---|
Linux - 로그 관련 명령어 : lastlog (0) | 2022.10.12 |
Linux - 시스템 로그 관련 패키지 : rsyslog (0) | 2022.10.12 |
Linux - 레드햇 온라인 패키지 관리기법 : yum (0) | 2022.10.12 |
Linux - RAID(MD) 구성 명령어: mdadm (0) | 2022.10.12 |